놀라워라, 생리대에도 발암물질이?
달걀 파동에 이어
생리대 발암물질 검출로 세상이 시끄럽다.
우리가 생리하던 70~80년대에는
아기 기저귀 면을 사서
엄마가 직접 만들어 주었다.
체육시간에 실수라도 하면
옷을 벌겋게 물들였던 추억도 있다.
그런데 세상이 좋아지고 편리해지다 보니
생리대도 1회용으로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세상이 되었다.
여성이면 누구나 사용하는 생리대에 발암물질이라니
놀라움 가득하다.
※ 생리대 발암물질의 발단
생리대 논란은 지난 3월 발표된 강원대학교 연구진의 시험 결과가 시발점으로 연구진이 시중 생리대 제품 10종을 수거해 유해물질 방출량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시험 제품 모두에서 유해물질 22종이 검출됐는데 그중 릴리안 생리대에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집중 폭격을 맞고 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 모두에 유해 성분이 있는 셈이다.
※ 발암물질 생리대가 유통되는 이유
생리대 제조사들이 유해물질이 든 제품을 만들고도 버젓이 판매까지 해왔을까. 그 이유는 이들 생리대가 현행법상 아무런 문제가 없는 제품이기 때문이다. 현행법에서 생리대 품질안전에 관한 기준은 포름알데하이드, 색소, 형광물질, 산·알칼리에 관한 것만 규정한다. 따라서 의약품엔 필수인 '전 성분 표시' 의무가 생리대엔 없다. 제품에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전부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제품 안전성 기준이 그만큼 세밀하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생리용품 사용실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 여성들의 생리용품 사용실태 및 인식도를 조사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80.9%)를 쓴다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탐폰'(10.7%), '다회용 생리대'(7.1%)는 10명 중 1명꼴에 그쳤고 '생리컵'이라는 대답은 1.4%에 불과했다고 한다.
※ 생리대 속 유해물질은?
일회용 생리대 대표적인 유해성분으로 다이옥신, 퓨란, 잔류 농약, 향료, 메칠이브로모 글루타로나이트릴(methyldibromo glutaronitrile)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성분에 노출됨으로써 암, 생식기능 장애, 내분비계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단다.
향후 유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여성환경연대는 식약처에 대해
㉠ 현형 일회용 생리대 허가기준으로 논란이 된 각종 유해화학 물질에 대한조사
㉡ 일회용 생리대 제품 전체에 대한 성분 및 위해성 조사
㉢ 화학물질 통합관리방안 및 관리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한다.
28일부터 환불조치에 들어간다고 한다. 생리를 하는 여성이 수십 년 동안 쓰고 직접 몸에 닿는 물품에 대해 제대로 된 조사와 연구가 없었던 것이 문제로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식약처 등 관련 부처에서 하루빨리 합당한 안전 기준을 마련해 여성들이 다시금 생리대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같다.
인스타, 스토리, 페북, 포스트에서도 만나요~
도움된 정보였다면
하트 공감 ♡ 꾸우욱 ^*^
'유용한 정보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랏빛 영양덩어리,아로니아 보관법과 활용법 (10) | 2017.08.26 |
---|---|
휴드폰 케이스에 중금속 유해물질 검출? (9) | 2017.08.26 |
놀라워라, 생리대에도 발암물질이? (11) | 2017.08.24 |
불 없이 뚝딱 만든 단호박 간식 (34) | 2017.08.17 |
살충제 검출, 계란에 표시된 식별번호 뭐지? (31) | 2017.08.15 |
육수 낸 건더기의 화려한 변신 (23) | 2017.08.15 |
허걱...
정말 놀랍네요.ㅠ.ㅠ
답글
적절한 규제가 없었다는 사실이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앞으로는 부디,,, 이런 소식이 없었으면 좋겠네요ㅜㅠ
답글
요즘은 어째 점점 믿고 쓰거나 먹을거리들이 부족해지는것 같아요...
답글
이런 문제가 여지껏 이야기 없었다는 게 너무 황당하네요. ㅠㅠ
답글
문제들이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어요.
답글
이런 세상에 믿을 제품이 없네요 ㅜㅜ
답글
맘놓고 먹고 쓰고싶은데 기본이 힘드네요
답글
정말 이제는 이런 소식이 뉴스에 안나오는 깨끗한 제품들이 세상에 가득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조금만 신경쓰면 될텐데.. 왜들그러는지.....ㅠ.ㅠ
답글
저도 뉴스 봤습니다.
사용중이라면 빨리 환불받고 증상이 있으신분들은 추후에 소송등으로 보상받아야 할것같아요
답글
저두 언니가 택배에 넣어둔 게 있어서 몇 번 썼...는데 그렇더라구요. 정부와 제조회사의 책임과 윤리의식 문제 같아요. 아이들 기저귀도 걱정되기까지 하더라구요.
답글
ㅠㅠ 정말 믿고 쓸 수 있는게 없네요ㅠㅠ 지금 모르고 있는 나쁜 것들 더 있을 것 같아요ㅠㅠ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