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케이스에 중금속 유해물질 검출?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가지고 다니는 핸드폰
하루 중 적지 않은 시간을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휴대폰 케이스에서
카드뮴과 납 등 중금속 성분이
국제 기준치의 9,219배나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또 케이스에 부착된 큐빅이나 금속제품 등의 장식품이
사실상 납과 카드뮴 덩어리였던 것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휴대전화 케이스 30개(합성수지 재질 20개, 가죽 재질 10개)를
시험·검사한 결과
이 중 6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나왔다고 합니다.
사진출처:방송캡쳐
★ 유해물질 뭐가 나왔지?
㉠ 카드뮴
국제 암연구소가 규정한 1등급 발암물질로 고농도에 일시적으로 노출되거나 저농도에 장기가 노출시 폐와 신장 등에 유해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납
납은 인체에 흡수되면 혈중에 분포했다가 90% 이상 뼈에 축적되며 고농도의 납에 중독되면 식욕 부진, 빈혈, 소변량 감소, 팔·다리 근육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분류되며 간·심장·신장·폐·혈액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생식에도 영향을 미쳐 정자수를 감소시키고 유산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유해물질은 대부분 케이스를 꾸미기 위해 붙인 큐빅·금속 장식품에서 검출되었고, 현재 휴대전화 케이스와 관련한 국내 안전기준은 따로 없으며 가죽 재질은 '가죽제품'으로, 만 13세 이하 어린이가 사용하는 제품은 '어린이 제품 안전특별법'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가죽제품의 경우 중금속에 대한 기준은 없고 '유독 물질 및 제한물질·금지 물질의 지정' 고시에 따라 납과 카드뮴 사용을 제한하고는 있지만, 금속 장신구에 한정돼 있답니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어진 만큼 이제 휴대폰 케이스의 유해 물질 관리는 필수인 것 같으며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 같다. 너무 화려한 케이스는 피하는 게 좋겠다. 나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
인스타, 스토리, 페북, 포스트에서도 만나요~
도움된 정보였다면
하트 공감 ♡ 꾸우욱 ^*^
'유용한 정보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여름, 수박 껍질 200% 활용법 (14) | 2017.09.02 |
---|---|
보랏빛 영양덩어리,아로니아 보관법과 활용법 (10) | 2017.08.26 |
휴드폰 케이스에 중금속 유해물질 검출? (9) | 2017.08.26 |
놀라워라, 생리대에도 발암물질이? (11) | 2017.08.24 |
불 없이 뚝딱 만든 단호박 간식 (34) | 2017.08.17 |
살충제 검출, 계란에 표시된 식별번호 뭐지? (31) | 2017.08.15 |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좋은주말 되세요
답글
세상에나....
소비자의 건강은 생각하지 않고 만들어내는 사람들...
참 나쁘다...ㅠ.ㅠ
답글
사실 이런 유해물질이 우리 삶 곳곳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죠.. ㅠㅠ
답글
요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그런지
이런것에 대한것도 예전보다 많이 눈에 더 띄는듯 합니다
안전한 세상에서 살고 싶네요^^
답글
핸드폰도 케이스없이 사용해야겠네요ㅜㅜ
덕분에 좋은정보 잘보고갑니다.
즐거운 주말보내세요 ~
답글
저도 이 뉴스보고 케이스 당장 벗겨 버렸습니다
먹거리서부터 생존 환경이 최악입니다.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 이제 소비자들이 각성해야 합니다.
답글
휴대폰 케이스 예쁜 것 많던데.....
그냥 가죽으로된 무난한 것 사용해야겠어요. 꾹 누르고 갑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답글
에구, 이곳저곳 유해물질이 가득하네요.ㅠㅠ
답글
전 다행이 아니네요^^
그래도 매일 닦습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