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오곡밥5

건강기원, 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보름나물 7가지 건강기원, 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보름나물 7가지 정월대보름이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재래시장에 나갔더니 묵은나물을 삶아 팔기에 사 와 오곡밥과 보름나물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 보름나물 7가지 ▶ 재료 : 시금치 1단, 숙주 1봉, 묵은나물 5가지(무시래기, 고구마줄기, 취나물, 토란대, 오가피) 각 200g, 멸치액젓, 표고버섯가루, 육수, 마늘, 참기름, 깨소금 약간 ▶ 만드는 순서 ▲ 재래시장에서 사 온 묵은나물 1. 숙주나물 ㉠ 숙주는 데쳐낸 후 마늘, 액젓,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무쳐준다. 2. 시금치나물 ㉠ 손질하여 데쳐낸 시금치는 마늘, 액젓,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무쳐준다. 3. 묵은나물 볶음 ㉠ 시래기는 먹기좋은 크기로 썰어 마늘 1숟가락, 멸치액젓 2숟가락, 표고버섯가루 2숟가락을 넣.. 2024. 2. 23.
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묵은 나물 6가지 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묵은 나물 6가지 음력 정월 보름(2월 15일), 우리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을 뜻하며,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한국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날로 약식과 오곡밥, 묵은 나물, 부럼 깨기와 같은 절기 음식의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 묵은 나물 손질하기 ㉠ 고사리, 아주까리, 호박고지는 쌀뜨물에 토란대, 취나물,뽕잎나물은 미지근한 물에 1시간정도 담가둔다. ㉡ 푹 삶아준 후 삶겨진 순서대로 찬물에 담가 씻은 후 먹기 좋게 썰어둔다. ㉢ 멸치와 다시마로 육수를 내준다. 2. 묵은 나물 볶음 ▶ 재료 : 호박고지, 토란대, 뽕잎나물, 취나물, 고사리나물, 아주까리나물 각각 25g 정도, 멸치액젓, 식용유, .. 2022. 2. 14.
정월 대보름,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복쌈 정월 대보름,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복쌈 내일은 정월 대보름입니다. 농경민족에게 음력 보름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월 보름을 "대보름", 8월 보름을 "한가위" 라고 하여 여느 보름과는 달리, 특별한 풍습이 있는데 "음식"과 관련된 "정월대보름" 세시 풍속입니다. 1. 부럼 정월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까서 먹는 잣,호두,밤,땅콩 같은 건과류를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문다. "1년 동안 무사 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 는 뜻이지만 이(齒)가 단단해 지라는 뜻도 있습니다. 지방에 따라 이밖기(齒打), 고치지방(固齒之方) 이라고도 합니다. 2. 귀밝이 술 정월대보름날 아침, 식사하기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로 耳明酒라고도 합니다.이 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 2014. 2. 13.
정월 대보름, 나물 맛있게 만드는 비법 정월 대보름, 나물 맛있게 만드는 비법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의 운세를 점쳐보는 달이기도 합니다. 사람과 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나로 화합하고 한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달에게 소원을 비는 날입니다. 달맞이는 초저녁에 높은 곳으로 올라서 달을 맞는 것을 말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그해 운이 트인다고 하였습니다. 1. 정월대보름 유래 정월 대보름날을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합니다. 상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 의 하나로, 삼원이란 상원(1월 15일),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을 말합니다. 도가에서 이 날은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고 .. 2013. 2. 23.
정월대보름,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복쌈 정월대보름,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복쌈 오늘은 정월대보름입니다. 농경민족에게 음력 보름은 여러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월 보름을 "대보름", 8월 보름을 "한가위" 라고 하여 여늬 보름과는 달리, 특별한 풍습이 있는데 "음식"과 관련된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입니다. 1. 부럼 정월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까서 먹는 잣,호두,밤,땅콩 같은 건과류를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문다. "1년 동안 무사 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 는 뜻이지만 이(齒)가 단단해 지라는 뜻도 있습니다. 지방에 따라 이밖기(齒打), 고치지방(固齒之方) 이라고도 합니다. 2. 귀밝이 술 정월대보름날 아침, 식사하기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로 耳明酒라고도 합니다.이 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시는 것.. 2012. 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