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을이의 작은일상

주말마다 느끼는 아주 작은 행복

by 홈쿡쌤 2009. 6. 16.
728x90
반응형

주말마다 느끼는 아주 작은 행복
 

토요일, 아이 둘은 기말고사가 얼마 남지 않아 독서실에 가고, 남편과 둘이 시골에 혼자 지내시는 시어머님 댁을 다녀왔습니다. 6남매 잘 키워내시고 자식들은 다 떠나고 소라껍데기처럼 쓸쓸히 홀로 남았습니다. 몸이 안 좋으면 우리 집으로 모셔오기도 하고 또 좀 괜찮아지면 시골에서 텃밭도 가꾸고 노인정에도 다니시곤 합니다. 시원한 바람을 가르며 도착하니 집은 텅 비어있었습니다.

“어? 어머님 노인정 가셨나 보다.”

시장 본 것을 꺼내놓고 집안 청소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불호청도 세탁기에 돌려 햇살에 늘어놓았습니다. 뚝딱뚝딱 부드럽게 호박나물도 볶고, 콩나물도 무치고, 미역국도 한 냄비 끓였습니다. 일을 마무리하고 TV를 보고 앉아있으니 시어머님이 들어섭니다.

“어머님! 어디 다녀오세요?”
“응. 너희들 왔나? 노인정에서 놀다 온다.”

“그런데, 유모차 위에 통은 뭐예요?”
“호박 한 포기 옮겨 심어놓는다고.”

“네.”

집안을 둘러보던 남편이 집으로 들어서는 어머님을 향해 화를 냅니다.

“엄마! 농약은 치지 말라고 했지?”
“풀이 많이 나서.” 하시면서 말끝을 흐립니다.

아들이 화를 내는 이유는 꼼지락 꼼지락 텃밭정도야 가꾸는 건 건강을 위해 좋은 것이지만, 제초제를 치는 일은 절대 하지 말라고 당부를 했는데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엄마는 왜 자식 말을 안 듣는 거야?”

“..........”

아무 말도 못하시는 어머님이십니다.

당신을 위해서 하는 말인 줄 알기 때문입니다.

“여보! 집에 가자.”

“왜 벌써 가려고 그래?”
남편의 화가 얼른 가시지 않을 것 같아

“어머님! 아이들 저녁 해 먹여야죠. 독서실 갔다 올 시간 다 되었습니다.”

“그래? 그럼 어여 가서 아이들 챙겨.”

“네. 어머님. 안녕히 계세요.”

저 멀리 우리 차가 사라질 때까지 손을 흔들고 계시는 어머님이십니다.

“여보! 어머님한테 좀 살갑게 대해 줘.”

“몰라.”

“당신은 그래도 엄마라고 부를 수 있어 행복하잖아.”

“알았어.”

언젠가 한 번은

“당신이 자꾸 엄마한테 그러면 난 아무것도 안 해 드릴거야.”

알았다고 하면서도 쉽게 던지는 말 한마디가 어머님에게는 큰 상처가 된다고 해도 참 마음대로 안 되는가 봅니다. 안 그래야지 하면서 말입니다. 가족이기에 엄마이기에 편안함 때문일까요? 조금만 더 따뜻하게 대해줬으면 하는 맘 간절합니다. 다른 아들은 시어머님이 뭐라고 하면 “예, 예 엄마!” 하는데 유독 남편만은 똑바로 하라고 바른말을 하고 독하게 구는 것 같아 며느리인 내가 민망할 때가 많습니다. 엄마 떠나고 난 뒤 후회하지 말고 말이라도 다정하게 하라고 합니다. 왜 우린 영원한 내리사랑을 모르고 살아가는 걸까요? 

언제나 따뜻한 엄마 품 같은 아름다운 고향풍경에 한 번 빠져 보세요.




담쟁이가 흙 담을 휘감고 올랐습니다.


▶ 지금은 찾아오지 않는 텅 빈 제비집


           ▶ 접시꽃


 

어머님은 꽃을 참 좋아하십니다. 우물가, 마당 가장자리에 이것저것 심어놓은 꽃들이 한참 그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달맞이꽃


▶ 우엉

▶ 추어탕, 전을 부칠때 넣어먹는 방아잎 

▶ 엉컹퀴


▶ 흙냄새를 맡고 실하게 자라는 벼

▶ 들깨

▶ 고추

▶ 개망초

▶ 무성한 호박잎
 
▶ 호박

▶ 가지나무

▶ 가지꽃

▶ 뱀딸기

▶ 산딸기

 

주말마다 자연은 하루하루 그 얼굴을 달리합니다. 물과 햇빛 농부가 준 거름을 먹고 피고지고 열매 맺고 잘 자라는 것을 보면 참 대견스럽습니다. 이름 없는 들꽃으로 살더라도 항상 그 자리에서 말없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축복 누리는 것 같아 늘 나는 행복합니다.

어머님!
아범 마음 알지요?
늘 건강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