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력수급 위기사항! 학교에도 휴업명령
정말 하늘이 원망스럽습니다.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로 숨이 콱콱 막힐 정도입니다.
에어컨, 선풍기 바람을 싫어하는데 무더위로 끼고 사는 것 같습니다.
어제는 핸드폰으로 메시지 하나가 날아듭니다.
한참 열심히 공부하는 고3 아들의 학교입니다.
“전력수급 위기사황 대응 관련 긴급 절전 조치”
최근 폭염으로 인한 전력수급 위기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휴업을 명령합니다.
가. 휴업 기간: 2013.8 13.(화)~8.16.(금), 3일간
나. 휴업 조치 사유: 도내 학생들의 건강 및 안전생활과 전력수급 위기 극복
다. 주요 조치사항
- 도내 전 유·초·중·고·특수학교 등교 정지
- 휴업 조치 기간 중 모든 자율학습 및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중지
경상남도교육청에서 내려온 공문으로 학교에도 비상이 내려졌습니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이 중지되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초등학교는 개학이 9월이지만,
고등학교는 이미 개학을 한 학교도 많습니다.
1. 전력경보란?
아주 추운 겨울철이나 또는 여름철 무더위(찜통 더위)로 인하여 전력 소비의 사용량이 많이 예상될 때 경계하도록 미리 알리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정부는 전력수급 단계를
400만~500만 kW까지 '준비'
300만~400만 kW까지 '관심'
200만~300만 kW까지 '주의'
100만~200만 kW까지 '경계'
100만 kW 미만을 '심각'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2. 절전행동 수칙
절전 행동 수칙은 전력수급 비상시 절전 참여 요령을 정리한 것입니다.
▶ 가정에서는 에어컨, 선풍기 등 전기 냉방기기 가동을 자제해야 하며 다리미, 청소기,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꼭 필요한 조명을 제외한 각 방의 모든 조명등을 끄고 재난상황 파악을 위한 라디오, TV 외 가전제품 사용을 중지한다.
▶ 사무실에서 건물 관리자는 중앙조절식 냉방설비 사용을 중지하거나 온도를 높여야 하며 사무실내 냉방설비 가동을 중지하고 개인용 선풍기를 모두 끈다. 사무기기(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등)와 커피포트, 냉온수기, 자판기 등을 끄며 안전과 보안을 위한 최소한의 조명을 남기고 모두 소등해야 한다.
▶ 상점, 상가에서는 냉방설비 가동을 중지하고 에어컨, 선풍기 등을 모두 끈다. 안전과 보안용을 제외한 조명등과 간판 등을 모두 소등하며 식재료 부패와 관련 없는 가전제품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조정해야 한다. 자동문, 에어커튼 사용을 멈추고 환기 팬 가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 공장, 산업체에서 공장관리자는 중앙조절식 냉방설비 가동을 중지하거나 온도를 높여야 하며 각종 사무기기(컴퓨터, 프린터 등)와 커피포트, 냉온수기, 자판기 등을 끈다. 사무실은 모두 소등하고 공장 내부 조명은 최소화한다. 비상발전기 가동을 점검해보고 운전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3.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똑똑한 방법
㉠ 에어컨 등 전기냉방기기 사용은 자제합니다.

- 전기냉방기기 사용을 줄여주세요!
- - 여름철 전력피크의 주 원인중 하나인 냉방기기로 인한 전력부하는 국가위기를 초래합니다.
- - 일반적으로 에어컨 한 대의 소비전력은 선풍기 30대의 소비전력과 같습니다.
- - 특히, 지나친 냉방기기의 사용은 단계적 누진세로 인한 전기요금 폭탄의 원인이 되며, 실내외 온도차가 5℃이상이면 신경통, 두통, 현기증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 사용시간 외 TV, 컴퓨터, 충전기 등의 플러그는 뽑습니다.

- 전기흡혈귀라고 불리는 대기전력으로 가정의 소비전력이 6%나 낭비됩니다.
- 대기전력은 플러그를 꼽아둘 때 같이 기기 본래의 기능과 무관하게 낭비되는 전력입니다.
- 굿바이 대기전력 3가지 노하우
-
- - 절전형 멀티탭으로 바꾸기
- - 자기 전, 외출 전에 멀티탭 끄는 습관 갖기
- - 보이는 곳, 손에 닿기 쉬운 곳에 멀티탭 두기
㉢ 대기전력자동차단 콘센트를 설치하여 대기전력낭비를 막습니다.
.jpg)
- 대기전력자동차단장치를 이용해 보세요
- - 컴퓨터, TV 등의 전자제품 등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항상 대기전력을 소비하므로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해주는 콘센트, 멀티탭 등을 설치하면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실내온도는 26도 이상으로 유지합니다.

- 적정 냉방온도를 유지하세요
- 여름철 마다 반복되는 전력위기의 원인! 바로 냉방으로 인한 전력낭비였습니다.
- 냉방 시 선풍기를 같이 사용하고, 적정 냉방온도 준수로 여름철 아토피․호흡기 질환 예방 등 가족의 건강도 지켜주세요.
- 적정 냉방온도(26℃)를 위해 2℃만 높여도 약 14%의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적정 냉방을 위한 쾌적한 공조 요령
-
- - 에어컨 필터 청소로 냉방효율(3~5%증가)과 함께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세요.
- - 문과 창문의 개폐 횟수를 줄입니다.
㉣ 사용하지 않는 곳의 조명은 완전 소등합니다.

- 사용하지 않는 조명은 소등하세요
- - 방을 나오거나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조명이 소등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 낮에는 창가의 자연 빛을 최대한 이용하고 조명은 끄도록 합니다.
- 효율적인 조명사용 방법
- - 반사갓을 이용하면 광 효율을 향상시켜 등기구의 절반으로도 원하는 밝기의 조명 이용이 가능합니다.
- - 램프나 반사갓 또는 커버를 청소해 광손실을 방지하세요.
- - 인체감지 센서를 활용한 점등시스템을 설치하면 절전효과가 있습니다.
㉤ 전력사용이 급증하는 오전 10시~, 오후 2시~5시에는 전기사용을 최대한 자제합니다.

어제 오전 10시57분 전력경보 1단계인 '준비'가 발령되었습니다. 예비전력이 200만㎾ 밑으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경보 4단계 '경계' 경보가 발령된다고 합니다.
정부는 전력수급비상 '경계' 수준을 넘을 경우 사이렌을 울리고 방송 등을 통해 비상상황임을 국민들에게 알릴 계획이라고 합니다.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는 일에 동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주 작지만 모이면 큰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노을이의 사는 이야기 자주 만나 보고 싶다면 정기구독 해주세요
728x90
반응형
'유용한 정보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투리 비누 알뜰하게 사용하는 노하우 (29) | 2013.08.18 |
---|---|
페트병 버리지 말자! 생활소품 ‘무한 변신’ (36) | 2013.08.16 |
전력수급 위기사항! 학교에도 휴업명령 (26) | 2013.08.13 |
손때 묻은 유리창, 세제 없이 반짝반짝 광내기 (35) | 2013.08.13 |
신기하기도 해라! 텐트로 변하는 신발? (21) | 2013.08.11 |
여름휴가, 익사사고 예방을 위한 물놀이 안전 수칙 (21) | 2013.08.08 |
날이 점점 더워질 수록 많은 분들께서 냉방기기를
작동시켜 전력수급이 위기상태에 이르는 것 같습니다.
온 국민이 조금씩 전력을 아껴서 이 위기를 잘넘겨야합니다.
그리고 어서 날이 조금은 풀려서 냉방기기 사용이 줄어들면 좋겠네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절약하라고 시키신 분덜
그분덜 삼실은 어떨런지요?
참 대책없네요. 이 무더위에는....
잘보고 갑니다. 건강 하시고요^^
답글
전기 정말 아껴야 되겠군요~
아무쪼록 전력난이 무사히 넘어가기를 빌어봅니다~
답글
날씨가 정말 덥기 덥나보네요...
답글
전기세의 압박으로 에어컨이 무용지물이 되버렷네요 ㅠㅠ
동남아라 생각하며 살고 잇습니다 ㅋㅋ
답글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음...저도 실천해봐야 겠어요^^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지금뉴스에도 전력문제 방송하네요..
학교도 휴교하고.. 빨리 무더위가 지나가야 할 텐데..
잘보고 갑니다^^
답글
어쨌든 블랙아웃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절전에 동참은 하고 있지만
몇몇 미꾸라지같은 원전비리 저지른 나쁜 놈들 때문에 온 국민이 고생한다고 생각하니
화가 막 치밉니다...엄벌에 처해야 할 듯...
답글
전력수급 요즘에 가장 큰 문제이네요.
답글
미래를 보고 이런 설비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몇년간이 아쉽습니다.
지금이라도 계획이 필요한데.. 많은 분들이 고생하시네요ㅠㅠ
답글
전국이 비상이네요.
안그래도 더위에 짜증이 나는데 어째 이런 사태가 벌어지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답글
정말 올여름 폭염으로 인한 전력난 빨리 해결되길 바랍니다..
편안한 시간 되세요..
답글
그나저나 어쩌다 이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군요.
잘 절약하며 일단 위기는 넘기되 여러모로 되짚어 봐야 할듯 하네요.
답글
요즘에 정말 난리이네요...ㅠ.ㅠ
하루 마무리 잘하시고, 좋은꿈 꾸세요^^
답글
아 정말 전력 위기이군요
옆나라 일본은 한국으로 시집온 딸의 집으로
짐싸들고 온 가족도 있다고 합니다
답글
가정에서도 절전해야겠지만 기업도 문젭니다.
답글
요즘 날이 정말 덥긴더워요~~
이제 괜찮아 지겠죠.....^^
답글
여름마다 난리네요;;
가정사용량은 얼마 안된다고 들었어요;;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