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식, 이런 꽃다발은 어떤가요?
오늘은 우리 아들의 초등학교 졸업식이 있었습니다.
33살 늦은 결혼으로 첫 딸을 얻었고, 둘째는 아들이었음 하는 바램 가지고 낳았더니 요행스럽게 귀여운 아들이 태어났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 손에서 자라다가 4살 때부터 어린이집을 다녔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는 엄마가 제일 걱정스러울 때는 아침 출근길 떨어지지 않으려 할 때이고, 또 아이가 아플 때입니다. 어릴 때에는 감기도 어찌 그렇게 심하던지....
이젠 중학생이 되는 아들 녀석은 제법 자라 엄마 키와 비슷하게 되었습니다.
코 흘리게 아들 녀석이 벌써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날......
출근도 하지 않는 남편과 봄방학을 한 딸아이와 온 가족이 함께 한 시간이었습니다.
기름값이 올라서 그런지 모든 물가가 장난 아니게 올라갑니다.
그래서 그런지 정말 꽃값 또한 많이 올랐습니다.
빨간 장미 한 송이에 2천원을 하니 말입니다. 예쁘게 포장까지 하면 4천원…….
그래도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아들에게 장미 한 송이를 준다는 게 뭣하여 17,000원을 주고 샀지만,
장미 3송이 백합 3송이, 국화 2-3개 정도가 전부였습니다.
제법 볼만하게 꾸미려면 25000-30000원은 줘야 할 것 같았습니다.
어디 돈으로 비할까 싶어 기분 좋게 들고 학교로 향하였습니다.
학교 앞에 도착하자 일찍 나와 꽃다발을 파는 아주머니의 목청은 높아만 갔습니다.
"꽃 사세요."
"한 다발에 만원입니다."
추운 바람 맞으면서 서 있는 아주머니의 볼은 빨갛기만 했습니다.
살아가는 우리네 모습이었습니다.
'괜히 화원에 들러 서 왔나? 추운 날 나와 서서 파는 걸 살걸...'
하는 생각도 없잖아 들었습니다.



★ 졸업식이 시작되었습니다.

▶교장선생님이 250여명 모두에게 졸업장을 나누어 주시는 모습
졸업생 한 사람 한 사람과 악수를 나누며 축하를 해 주시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졸업생들에게 당부하는 세 가지
첫째, 졸업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둘째, 여러분은 꿈이요 희망입니다. 이 나라를 이끌어 나갈 일꾼입니다.
셋째, 남을 배려하는 사람이 되어라.

우리가 어릴 때에는 졸업식 날이 울음바다가 되곤 했었는데, 감정이 매 말라서 그럴까요? 아무도 우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저 싱글벙글....답사를 읽는 아들도 무덤덤....

초등학생들이라 그런지 밀가루도 케첩도, 알몸 뒷풀이도 없이 조용히 마친 졸업식이었습니다.



졸업식을 마치고 강당에서 졸업생들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손에는 아름다운 꽃다발이 들려 있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내 옆에 서 있는 학부모 한 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머뭇머뭇 나와 눈이 마주치자 사탕부케를 살짝 뒤로 보내는 것 같더니 웃음을 지으며
"우리 딸이 꼭 이것을 원하네요."
"어? 사탕 아닙니까?"
"네. 꽃보다 더 나을 것 같아서요."
"그럼요. 이 꽃이야 한 번 보고 나면 그만이지요."
"............그렇죠? 5천원 밖에 안 들었어요."
"너무 생각 깊은 딸을 두셨네요."
"아~ 아닙니다."
"자랑스럽다고 전해 주세요. 그리고 졸업 축하한 다구요."
"네. 고맙습니다."
우리는 허례허식, 남의 의식을 많이 하며 살아가나 봅니다.
요즘 아이들이 친구들의 눈 얼마나 의식하며 지내는 지 모릅니다.
그런데도 사탕다발을 받겠다는 아이가 얼마나 대견합니까?
저 역시 그저 쉽게 살 수 있는 꽃다발을 선택했으니까요.
한 번 쓰고 버리는 꽃다발 보다 정성이 가득담긴 사탕부케가 훨씬 가치 있어 보여 나 스스로를 부끄럽게 만드는 것 같았습니다.
사실, 시골에서 자라서 그런지 꽃을 주고 받는 문화에 익숙하지 못합니다.
남편이 생일에 꽃다발을 선물해 왔기에
"이게 뭐여?"
"내가 안 하던 짓 하나 이러지~ 칫~"
그 후 꽃다발 선물이 사라진지 오래랍니다. ㅎㅎㅎ
어떻습니까?
이런 사탕 꽃다발 참 예쁘지 않나요?
이젠 더 성숙한 여러분이 되어 이 세상을 빛내 주시길 바래 봅니다.
졸업생 여러분 정말 축하합니다.
'노을이의 작은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졸업앨범에서 사라져 버린 '친구들의 주소록' (34) | 2008.02.20 |
---|---|
맛 있는 커피 즐기는 법 (6) | 2008.02.19 |
까마득한 섬, 점을 찍어 놓은 절경 '경남 고성 문수암' (7) | 2008.02.18 |
너무 닮은 붕어빵? 국화빵?? (2) | 2008.02.16 |
선인장에 새겨진 이름들.... (8) | 2008.02.15 |
댓글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