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면 생각나는 음식
점점 밤이 길어지는 요즘입니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증거인지 남편은 밥숟가락을 놓자마자 TV를 보고 있으면 어느새 잠이 들어버립니다.
“여보! 여보! 지금 자면 어떻게 해.”
“음~몰라.~~”
“조금 있다가 자라니까.”
“그럼 좀 놀아주던지.”
“참나! 애기야? 놀아주게.”
“..............”
어느새 또 스르르 잠에 빠져들어 버립니다.
그리고 독서실 갔던 녀석들이 돌아올 시간이면 일어나
“와! 배고프다. 간식 할 것 없나?”
하면서 부엌을 기웃거립니다.
라면도 먹였다가 대봉 감 연시도 먹였다가 고구마도 삶아주고, 매일 매일 할 일이 아닙니다.
1. 어묵
겨울엔 역시 어묵이 최고!~ 추운날 김이 모락모락 나는 어묵국 파는 아줌마의 유혹에 넘어가 본적 없으십니까? 시원한 국물이 끝내준답니다.
길거리표 보다 더 맛나는 어묵국 끓이는법
노릇노릇 잘 익은 붕어 한 마리. 그것도 올라서 3마리에 천원, 퇴근 해 오는 아버지의 손에는 붕어빵 봉투가 들려있을 때 얼마나 기쁜지...여러분도 아시죠?
따끈하고 국물까지 시원한 우동, 요즘 즉석 우동도 먹을 만하던데.
추운 겨울 밤 골목마다 겨울이면 울리는 소리 ‘찹쌀떡~ 메밀묵~’
그 소리마저 아련할 때가 많습니다.
역시 겨울에는 김 모락모락 나는 호빵이 최고!
전자렌지에 돌리거나 전기밥솥에 넣어두었다가 먹으면 꿀맛!
6. 군고구마
1. 고구마는 깨끗이 씻어둡니다.
2. 잘 사용하지 않는 태워도 되는 냄비를 준비합니다.(우리 집은 전용으로 사용)
3. 고구마가 반쯤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삶기 시작합니다.
4. 20분 정도 삶으면 물이 다 졸아들어 있습니다. 젓가락으로 익은 정도를 확인합니다.
5. 노릇노릇 맛이 나게 뒤집어 줍니다.
우리가 어릴 때에는 사랑방에 고구마가 가마니 통 째로 들여놓고 겨울 내내 가마솥에 소죽 끓이고 난 뒤 재속에 넣어 두었다가 꺼내 먹었던 군고구마의 맛. 그리고 밥 위에 얹어 두었다가 학교 갔다 오면 엄마가 따뜻하라고 이불속에 뭍어 두곤 했었는데.
7. 김치전
별스런 재료 없이도 묵은지 송송 계란하나 밀가루만 있으면 맛있는 김치전이 됩니다. 우리 아들이 특히 좋아하는 음식이라 겨울 밤 다이어트 걱정 없는 녀석이라 자주 해 주곤 합니다.
요즘에는 먹을거리 지천으로 깔려있기에 누룽지 서로 먹겠다고 바가지에 구멍이 나도록 긁어 대던 우리와는 많이도 변한 세상을 사는 아이들입니다.
겨울이면 생각나는 음식, 또 뭐가 있을까?
*공감가는 글이라면 아래 추천을 살짝 눌러주세요
로그인 하지 않아도 가능하답니다.^^
'유용한 정보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탐과의 전쟁! 폭식을 줄이는 방법 (32) | 2009.12.10 |
---|---|
집안 냄새 없애는 생활의 지혜 (42) | 2009.12.09 |
활용도 만점! 만능 살림꾼 쿠킹호일 (43) | 2009.12.07 |
김장 김치 절임물 소금농도 10%가 딱 좋아 (24) | 2009.12.06 |
우유를 못 마시는 분께 드리는 6가지 전략 (32) | 2009.12.05 |
댓글
홈쿡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