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날, 매콤한 땡초전
비 오는 날, 매콤한 땡초전 비가 내리는 소리와 기름에 전이 익어가는 소리가 비슷하다고 하여 비 오는 날이면 꼭 생각난다는 전 매콤한 땡초전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 매콤한 땡초전 ▶ 재료 : 부추 한 줌, 홍합 100g, 땡초 6개, 부침가루 1컵, 계란 1개, 멸치가루 1숟가락, 육수 1/2컵, 당근, 식용유 약간 ▶ 만드는 순서 ㉠ 부추, 당근, 청양초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 ㉡ 부침가루, 계란, 홍합, 멸치가루, 물을 붓고 반죽해 준다. ㉢ 식용유를 두르고 한 국자 올려 앞뒤 노릇노릇 구워낸다. ㉣ 접시에 담고 통깨를 뿌려 완성한다. ※ 비가오면 부침개가 생각나는 이유? 그렇다면 사람들은 비 오는 날 왜 유독 부침개를 찾는 것일까? 1.비 오는 날 습도가 높아지면 혈당치가 내려가면서 인체가..
2021. 8. 22.
추석 음식 먹기 싫어! 엄마의 꼼수를 살짝 넣어보자
추석 음식 먹기 싫어! 엄마의 꼼수를 살짝 넣어보자 추석, 주부로서 큰 산을 하나 넘은 기분입니다. 형제들이 모여 차례 음식을 준비합니다. "여보! 조금 작게 준비해!" "엄마! 많이 하지 마. 먹기 싫어!" "알았어." 아무리 그래도 종류가 많다 보니 또 하나 가득 준비하게 됩니다. 차례상에 올릴 기본 생선만 사도 9마리, 나물 9가지, 명태살전, 깻잎전, 산적, 고구마전, 새우튀김, 고추전, 동그랑땡, 햄전 식혜, 잡채, 탕국 등 풍성해집니다. 막내 동서 듬뿍 담아주고, 경비아저씨 한 상 차려드리고, 이리저리 없애봐도 남은 음식은 며칠을 먹게 됩니다. 하지만 엄마의 꼼수에 넘어가는 고3 아들입니다. 1. 얼큰한 잡탕 찌개 ▶ 재료 : 산적 2개, 깻잎전 3개, 명태살전 3개, 두부전 1개, 생선 1토..
2013. 9. 23.
나트륨 줄이기 위해 '국 없는 날' 지정?
나트륨 줄이기 위해 '국 없는 날' 지정? 식약청에서 국민의 건강을 생각한다며 매월 셋째 주 수요일은 '국 없는 날'을 선포했습니다. 국물 없이 밥을 먹는다? 우리의 한식은 습식문화가 매우 발달해 있습니다. 국물 없이는 밥을 먹지 못한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매끼마다 국물이나 찌개가 없어도 밥을 잘 먹으면 "야! 장가가면 마누라한테 사랑받겠어." 그런 말까지 하는 우리입니다. 식약청은 국민에게 국, 찌개, 면류 등 국물요리로부터 나트륨 섭취가 높음을 알리고 국물 섭취를 줄이는 식문화로 개선하기 위한 캠페인이라고 합니다. 나트륨의 과다 섭취는 고혈압,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심혈관질환, 위암, 신장 질환, 골다공증, 당뇨, 비만의 원인이 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보다 2배 이상의..
2013. 4. 4.
오랜만에 찾은 여유, 온 가족이 함께한 행복한 식탁
오랜만에 찾은 여유, 온 가족이 함께한 행복한 식탁 창밖엔 겨울을 재촉하는 비가 촉촉이 내립니다. 휴일 아침, 고3 딸아이가 수능을 치고 나니 한결 여유롭습니다. '일어나! 학교 안 갈 거니?' 앵무새처럼 불렀던 노래도 멈추어 버렸습니다. 나 역시 여유 부리며 아침을 준비합니다. 토닥토닥 가족을 위한 맑은 도마 소리는 경쾌하기만 합니다. 1. 마른 새우 해바라기씨 볶음 ▶ 재료 : 마른 새우 100g, 해바라기씨 약간 진간장 2숟가락, 물 3숟가락, 꿀 2숟가락, 깨소금 약간 ▶ 만드는 순서 ㉠ 마른 새우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올리브유를 두르고 살짝 볶아준다. ㉡ 양념을 넣고 볶다가 마지막에 해바라기씨를 넣어주면 완성된다. 2. 물미역 무침 ▶ 재료 : 물미역 150g, 간장 2숟가락, 마늘, 깨소금, ..
2012. 11. 26.
");
wcs_do();